55 |
19권 2호 |
|
사업증권화의 구조와 법적 문제점【이영경】 |
54 |
19권 1호 |
|
주주총회 의결권제도 개선방안【최준선】 |
53 |
18권 3호 |
|
제20대 국회에 발의된 상법 개정안의 논의경과 및 쟁점 ―제20대 국회 논의를 중심으로― 【황현영】
|
52 |
18권 3호 |
|
제20대 국회에 발의된 상법 개정안의 논의경과 및 쟁점 ―제20대 국회 논의를 중심으로― 【황현영】
|
51 |
18권 2호 |
|
연성규범(Soft Law)을 통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
―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(Corporate Governance Code)의 개선 및 ‘준수 또는 설명(Comply or Explain) 원칙’의 도입방안을 중심으로―【김순석】 |
50 |
18권 1호 |
|
「기관투자자의 수탁자책임에 관한 원칙」 검토 ―한국 스튜어드십 코드의 원활한 시행과 정착을 위하여-【안수현】 |
49 |
18권 1호 |
|
원칙중심규제: 영국의 경험【Niamh Moloney】 |
48 |
17권 3호 |
|
일본 주주총회제도 및 운영 현황을 통한 시사점【황현영】 |
47 |
17권 3호 |
|
코스닥시장의 상장폐지에 대한 소고 -실질심사제도를 중심으로-【김민교】 |
46 |
17권 2호 |
|
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에 따른 법적 검토 과제 【김순석】 |
45 |
17권 1호 |
|
상법상 종류주식에 관한 고찰-영국 회사법과 비교를 중심으로-(오성근) |
44 |
16권 3호 |
|
사모투자전문회사 유한책임사원 지분에 대한 질권설정의 대항요건-대상판결: 대법원 2015.4.23. 선고 2014다218863판결-【강희주 |
43 |
16권 2호 |
|
시장질서교란행위 도입과 관련한 몇 가지 쟁점들【이정수】 |
42 |
16권 1호 |
|
독일의 MaComp과 컴플라이언스 기능-한국 준법감시인제도에 대한 시사점-【신상우】 |
41 |
15권 3호 |
|
기업의 공개와 유지 및 상장의 폐지제도에 따른 기업가치의 경제적파급효과【볼프강 베슬러⋅유재인】 |